•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지멘스, 심센터 기계 시뮬레이션에 전동화·항공우주 설계 위한 기능 확장
한국레노버, 게이밍 전용 AI 칩 탑재한 ‘리전 프로 7i’ 국내 출시
크레아폼, HandySCAN BLACK 3D 스캐너 시리즈 신제품 출시
알테어,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플랫폼 '알테어 래피드마이너' 출시
알테어가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을 통합한 플랫폼 '알테어 래피드마이너(Altair RapidMiner)'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알테어는 알테어 래피드마이너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모델링부터 운영 및 시각화까지 데이터 분석 종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 시 발생하는 사람간, 데이터 간의 마찰을 없애는 ‘매끄러운 AI’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알테어는 ‘데이터워치(Datawatch)’, ‘월드 프로그래밍(World Programming)’, ‘래피드마이너(RapidMiner)’를 차례로 인수하면서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엔드 투 엔드 솔루션을 구성했다. 데이터워치는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시각화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월드 프로그래밍은 SAS 랭귀지 및 파이썬(Python), R, SQL과 같은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며 기존 레거시 시스템을 현대화하는 하이브리드 환경의 구축이 가능하다. 래피드마이너의 경우 전 세계 150개국에서 100만여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노코드/로코드 기반 플랫폼으로, 머신러닝의 복잡한 과정을 자동화하는 오토ML(AutoML)기술을 제공한다. 알테어 래피드마이너는 사용자가 보유한 유닛 수량에 따라서 알테어의 전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알테어 유닛 기반 라이선스에 포함된다.     알테어의 샘 마할링엄(Sam Mahalingam) 최고 기술 책임자(CTO)는 "알테어 래피드마이너는 조직의 가장 중요한 자산인 사람과 데이터, 프로세스를 연결하는데 발생하는 방해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준다”면서, “데이터 기반 조직 문화를 가속화하고, 기존 레거시 시스템의 현대화 및 클라우드 옵션을 통해 보다 최적화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알테어는 데이터에 미성숙한 조직이 데이터 기반 조직 문화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CoE(Center of Excellence)을 운영하고 있으며, 알테어 래피드마이너 아카데미를 통해 사용자의 역량 수준과 산업별 요구사항에 따른 개인 맞춤형 학습도 제공한다고 소개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3-17 조회수 : 183
한국후지필름BI, AI 기반 360도 화상회의 카메라 및 24인치 태블릿 모니터 출시
한국후지필름비즈니스이노베이션(이하 한국후지필름BI)이  AI 기반 협업 솔루션 기업인 FTI와 파트너십을 맺고, AI 솔루션이 탑재된 360도 화각의 4K 화상회의 카메라 ‘큐브(Innex cube)’와 24인치 태블릿 모니터 ‘허브(Ideao hub)’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큐브’와 ‘허브’는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근무 형태로 각광받는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원격 협업 솔루션이다. 최근 비대면 및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MZ 세대가 기업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하며 내부 조직과 업무 방식에서도 디지털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후지필름BI는 "이번 신제품은 간편한 조작법과 편리한 기능으로 원격 협업을 지원해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큐브’는 4K 360도 화각을 제공하는 AI 분석 기반 화상회의용 카메라로, 가로와 세로 6.5cm, 높이 6.6cm의 컴팩트한 크기를 갖추었다.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제품 외부에 장착된 4개의 5MP 카메라와 최상의 스티칭 알고리즘을 활용해 왜곡 없는 360도 화각의 선명한 화면을 전달한다. 또한, 모든 방향의 소리를 감지해 균일한 음질을 보장하는 듀얼 무지향성 마이크가 내장돼 있어 몰입감 있는 회의를 경험할 수 있다. 협업이 필요한 업무에서 ‘큐브’ 카메라를 회의실 중앙에 놓으면 회의실 전체를 한 화면에 촬영할 수 있다. 지능적인 AI 기술 기반의 비디오 기술로 회의 참석자들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최대 8개의 화면 분할을 제공한다. 회의 종류에 따라 자동 프레이밍 모드, 프레젠테이션 모드, 대화 모드, 파노라마 모드, 고정 프레이밍 등 원하는 화각을 선택해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리모컨으로 표시하고 싶지 않은 구역을 간편하게 설정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회의 간섭을 방지해주는 이그노어존 설정 기능도 탑재했다.     한편, ‘허브’는 개인 작업부터 협업 회의까지 다방면의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24인치 태블릿 모니터다. QHD 해상도의 WCG(Wise Color Gamut, 고색재현)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명한 색감과 생동감 넘치는 화면을 연출하고 스위블, 틸트, 피벗 스탠드 기능을 지원한다. 모니터를 60도까지 눕혀서 사용하거나 가로 세로 또는 좌우로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일반 비즈니스 업무 외에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국후지필름BI는 ‘허브’의 향상된 터치감으로 디자인 작업이나 회의 중 판서가 필요할 때에도 사용하기 적합하다고 소개했다. ‘옵티컬 본딩(Optical Bonding)’ 기술과 고급 P-Cap(Projected-Captive) 터치 기술을 적용하여 부드러운 필기감을 제공하며, 태블릿 모드 사용 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용 스타일러스 펜 ‘아이데오 펜(Ideao Pen 2.0)’도 기본으로 제공한다. 이 전용 스타일러스는 MPP 2.0(Microsoft Pen Protocol 2.0) 규격을 지원하는 펜으로, 4096단계의 압력 감지와 기울기(tilt) 입력을 지원해 더욱 자연스럽고 정교한 드로잉과 필기를 돕는다. 또한, USB PD(Power Delivery) 규격을 지원해 C타입 USB 케이블로 연결 시 최대 65W의 전원을 연결 기기에 공급할 수 있어, 노트북이나 태블릿, 스마트폰, 게임 콘솔 등의 화면을 출력하는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국후지필름BI의 김현곤 영업본부장은 “최근 대다수의 기업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인 MZ세대 직원들의 니즈에 맞춰 업무 연속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면서, “뛰어난 스펙과 효율적인 기능들을 겸비한 ‘큐브’와 ‘허브’를 활용해 디지털 대전환(DX) 흐름에 맞춘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구축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3-17 조회수 : 192
트림블, 구조 BIM 소프트웨어 최신 버전 Tekla 2023 출시
트림블(Trimble) 코리아가 BIM(빌딩 정보 모델링), 구조 엔지니어링, 철골 제작 관리를 위한 최신 버전의 Tekla(테클라)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Tekla Structures 2023(테클라 스트럭처스 2023), Tekla Structural Designer 2023(테클라 스트럭처럴 디자이너 2023), Tekla Tedds 2023(테클라 테즈 2023)은 건설 생산성, 효율성, 품질을 향상시킨다. 트림블은 최신 Tekla 소프트웨어의 출시로 프로젝트 각 단계와 이해관계자 전반에 걸쳐 자동화된 커넥티드 워크플로의 기준이 한 단계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최신 버전의 Tekla는 유의미하게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며, 규모와 복잡성이 증가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보다 원활한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Tekla 소프트웨어는 통합 솔루션 제품군, 중앙 집중식 데이터, 간소화된 워크플로, 프로젝트 진행 과정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가시성을 지원한다. 이로써 커넥티드 컨스트럭션(connected construction)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커넥티드 컨스트럭션은 정밀 생산과 시공 가능한 설계를 통해 재작업을 줄이며, 친환경 건설 전략의 기반을 구축해 자원 활용을 최적화하고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전체 자산 수명주기 유지보수(full asset lifecycle maintenance)를 구현한다.     구조 BIM 소프트웨어인 Tekla Structures는 시간을 절약하는 기능을 더 쉽게 배우고 더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신규 및 기존 사용자 전반의 사용자 경험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성능의 여러 개선 사항 외에도 도면 편집 사용자 경험이 업그레이드돼 소프트웨어의 학습 및 사용이 더욱 용이해졌다. Tekla Structures는 제작 워크플로와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고급 상세설계를 한 차원 끌어올렸다. 철근 디테일링 작업 시 복잡한 철근 형상 설계를 조달, 제조, 건설 현장과 공유하기가 한층 용이해졌으며, 특수 산업군의 볼트 및 홀과 관련된 다수의 디테일링 옵션이 포함돼 철골 제조업체에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여러 유형의 프로젝트 및 자재 제작을 위한 디테일링 분야에 업데이트된 출력 및 내보내기 기능을 지원한다. 3D 설계 및 해석 소프트웨어인 Tekla Structural Designer는 보행량(footfall) 측정에 대한 분석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해 성능을 정확하게 정량화한다. 이는 비용 절감과 위험 감소의 효과를 제공한다. 엔지니어는 단일 모델에서 여러 가지 보행량 시나리오를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 Tekla Structural Designer 2023는 ▲Tekla Structures를 통한 설계부터 디테일링까지의 워크플로 강화 ▲Tekla Tedds를 통한 목재 설계 워크플로 개선 ▲아이디어 스태티카(IDEA StatiCa)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커넥션 설계 소프트웨어와의 연결성 강화 ▲오토데스크 레빗(Autodesk Revit) 2023 사용자를 위한 새로운 통합 프로그램 도입 등 엔지니어링 업무 워크플로 최적화를 지원한다. 구조 설계 소프트웨어인 Tekla Tedds를 사용하면 구조 설계 정보 및 문서에 대한 Tekla Structures와의 통합을 거쳐 설계부터 디테일링까지(design-to-detailing) 협업 워크플로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철골 접합부 설계의 경우, Tekla Structures와의 통합이 개선돼 Tedds 계산을 Tekla Structures 구성요소에 연결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추가 기능을 통해 Tekla 소프트웨어는 엔지니어와 철골 디테일러(detailor) 사이의 엔드 투 엔드(end-to-end) 연결 확인을 위한 원활한 워크플로를 제공한다. 또한, Tekla Tedds 계산은 팀버(timber)/우드(wood) 설계에 특화된 Tekla Structural Designer 의 복합 소재 설계를 지원한다. 최신 버전에는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구조 요소 설계를 위해 새롭게 업데이트된 계산 기능도 포함돼 있다. 테클라 스트럭처스의 마이클 에반스(Michael Evans) 선임 제품 디렉터는 “트림블은 업계의 이해관계자가 건물 정보를 보다 쉽게 이용, 구축, 공유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아울러 지속적인 개선, 제품 내 인텔리전스, 지속가능한 건설을 위한 지원 확대를 통해 현재 시장에서 가장 진보된 BIM 기술 플랫폼 중 하나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3-16 조회수 : 280
슈나이더 일렉트릭, 빌딩 운영 솔루션 ‘에코스트럭처’ 통합 강화 버전 출시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통합 기능을 강화한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 2023(EcoStruxure Building Operation 2023)’을 발표했다. 에너지 사용과 탄소 배출량의 감소가 전 세계적인 목표로 꼽히며, 기업은 빌딩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낭비와 비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IEA(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빌딩 시공 및 운영 단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의 약 40%를 차지하고, 공간 및 건물 관리 비용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는 최소 30%를 차지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건물 관리 시스템(BMS) 내에서 모든 전력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이제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에서 파워로직(PowerLogic) 전력 미터 및 에너지 데이터에 보다 쉽게 액세스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BMS(Building Management System) 소프트웨어의 첫 번째 독립형 컨테이너인 ‘에코스트럭처 엣지 서버(EcoStruxure Edge Server)’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빌딩의 센터와 컨트롤러를 비롯한 하드웨어에서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기타 간접배출(Scope3)에 포함된 탄소 감축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설명이다. 건물 운영을 위한 에코스트럭처 엣지 서버는 기존 BMS보다 빠르게 설치되고 배포되며, 전력 및 리소스 효율성으로 인해 점점 보편화되고 있는 최신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인프라를 갖춘 건물에 더욱 탄력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이 밖에도,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 2023은 실내 환기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에코스트럭처 커넥티드 룸 솔루션(EcoStruxure Connected Room Solution)’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통합 전력 관리 솔루션인 ‘에코스트럭처 파워 모니터링 엑스퍼트(EcoStruxure Power Monitoring Expert : PME)’와 함께 작동하여 실시간 룸 인원 수 및 점유율 등을 기반으로 필요한 장소와 시간에만 에너지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최대 23%의 에너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에코스트럭처 파워 모니터링 엑스퍼트는 보호계전기, 차단기, 전력 품질 미터, 센서 등과 같은 전기 인프라에서 데이터를 수집해 대시보드 형태로 에너지의 흐름과 상태를 가시화하며, 건물 내의 에너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누설 전류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고, 고장 전 사전 경보와 문제 진단으로 전력 문제가 생길 경우에 빠른 복구를 가능케 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안드레 마리노 (Andre Marino) 디지털 빌딩 수석부사장은 “오늘날 에너지의 60%가 손실되거나 낭비되는 상황에서 기후 및 에너지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전기화 및 디지털화가 필요하다”면서,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과 같은 현대화된 건물 관리 솔루션을 사용하면 건물 내 시스템을 연결하고 디지털화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더 잘 확인할 수 있고 에너지 낭비 및 탄소 배출량을 최대 20%까지 줄일 수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빌딩의 에너지 효율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고, 입주사 및 빌딩 운영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3-16 조회수 : 222
마이크론,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SSD '마이크론 9400' 공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고성능 데이터센터용 SSD인 ‘마이크론 9400 NVMe SSD’가 대량 생산에 들어갔으며 채널 파트너를 통해 즉시 구매 가능하고, 전 세계 OEM 고객이 높은 수준의 스토리지 성능을 요구하는 서버에 즉각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마이크론 9400은 까다로운 데이터센터 워크로드(작업부하), 특히 인공지능(AI) 학습, 머신러닝(ML) 및 고성능 컴퓨팅(HPC)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드라이브는 30.72 테라바이트(TB)의 스토리지 용량, 향상된 워크로드 성능 그리고 77% 개선된 IOPS(초당 입출력 횟수)를 제공한다. 또한, 고속의 PCIe 4세대 데이터센터 U.3 드라이브이면서 모든 용량 포인트에서 일관되게 낮은 지연속도(레이턴시)를 제공한다. 마이크론 9400 SSD의 30TB 용량은 마이크론의 이전 세대 NVMe SSD가 제공한 최대 용량의 두 배이다. 표준 2U 24 드라이브 서버에 30.72TB 마이크론 9400 SSD를 장착하면 총 스토리지는 서버당 737TB가 된다. 마이크론은 SSD당 용량을 두 배로 늘려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절반의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론은 "값비싼 랙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고 하드웨어 관리에 소요되는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줄여 IT 인력과 예산의 효용을 극대화해서 IT 팀이 혁신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런 탁월한 용량은 현대의 데이터 집약적인 워크로드를 처리하는 동시에 필요한 만큼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마이크론 9400 SSD는 160만 IOPS로 100% 4K 랜덤 읽기를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마이크론 9400의 용량과 성능은 더 큰 데이터세트를 가능하게 하고 머신러닝 모델을 학습시킬 때 한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반복시키는 총 횟수를 가속화하여 GPU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캐싱,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 고빈도 거래(high-frequency trading), 인공지능, 극단의 성능을 요구하는 성능 중심 데이터베이스 등 많은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서 혼합 워크로드가 널리 쓰이고 있다. 이렇게 읽기와 쓰기가 혼합된 워크로드의 경우에도 마이크론 9400은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한편, 워크로드 성능과 함께 데이터센터 운영자의 중요한 고려 사항은 에너지 사용량이다.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뜻은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사용된 에너지에 대해 처리량이 많다는 것이다. 마이크론 9400은 와트당 77% 더 높은 IOPS로 전력 소모를 줄이고 운영비, 탄소 발자국,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마이크론 9400 SSD는 U.3 폼 팩터로 제공되지만 U.2 소켓과도 하위호환성을 지원하며, 6.4TB에서 30.72TB까지 다양한 용량으로 제공된다. 이 같은 옵션으로 데이터센터 운영자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스토리지와 워크로드에 적합한 성능, 용량, 내구성의 조합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 마이크론 9400 SSD는 온프레미스 서버팜에서든 멀티 테넌트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에서든 중요 워크로드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하이퍼스케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OEM 및 SI 설계에 맞게 유연하게 구축할 수 있다. 마이크론의 알바로 톨레도(Alvaro Toledo) 데이터센터 스토리지 제너럴 매니저 겸 부사장은 “높은 성능과 용량, 낮은 레이턴시는 AI/ML 및 슈퍼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극대화하려는 기업에 중요한 특성”이라면서, “30TB의 용량과 혼합 워크로드에서 100만 IOPS로 처리하는 성능을 제공하는 마이크론 9400 SSD로 각 서버에 더 많은 데이터세트를 올릴 수 있고, 머신러닝 학습을 가속화해서 사용자가 GPU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3-09 조회수 : 508
파수, 문서·도면에 이어 소스코드까지 보호하는 보안 DRM 기술 발표
파수가 소스코드의 개발부터 유통까지의 과정에서 지적재산권(IP)을 보호해 소스코드 유출로 인한 보안 위협을 막는 새로운 DRM 기술을 발표했다. 파수는 기존 소스코드 보안의 문제를 개선한 기술을 통해 문서부터 도면(CAD) 파일에 이어 소스코드까지, 여러 영역의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는 DRM 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파수가 이번에 발표한 소스코드 보안은 문서보안 솔루션 ‘파수 엔터프라이즈 디알엠(Fasoo Enterprise DRM, 이하 FED)’의 확장형으로 지원되며, FED 5.9버전부터 적용 가능하다. FED는 문서가 생성되는 시점부터 자동 암호화하고 설정된 권한에 따라 열람, 편집, 인쇄 등을 제한하며, 사용내역 추적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문서보안 솔루션이다. 파수는 지속적인 FED 개발을 통해 일반 문서 뿐 아니라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응용 프로그램이 다양해 보안 적용이 어려웠던 CAD 파일에도 DRM을 도입했다. 이번에는 소스코드까지 DRM 적용을 확장하면서 다양한 콘텐츠 종류와 디바이스, 환경의 보안을 지원하게 됐다.     제품 및 솔루션 등의 핵심 기술을 담고 있는 소스코드는 유출되면 기업 경쟁력에 심각한 손해를 야기하고, 보안 취약점 또한 노출돼 해킹 위험성도 높아진다. 그간 소스코드에 보안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소스코드는 편집기나 컴파일러 외에도 형상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고, 산업이나 기업, 개발자에 따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또한 달라 일괄적인 보안 지원이 어려웠다. 또한 하나의 소스코드가 많게는 수천 개의 파일로 구성돼 보안 솔루션 적용시 속도 저하 등의 사용성 문제도 발생한다. 파수는 "이번에 발표한 소스코드 DRM은 이러한 기존의 문제를 해결한 기술로, 암호화를 유지한 상태로 개발 및 편집이 가능하며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속도 저하를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파수의 소스코드 보안 기술은 개발 단계뿐 아니라 형상관리까지 지원한다. 자바, C/C++, C# 등의 다양한 개발언어와 인텔리J(IntelliJ),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 등을 포함한 편집기, 컴파일러, 비교/머지툴 등 다양한 환경과 프로그램에서 모든 소스코드를 실시간으로 자동 암호화한다. 또한 깃허브 데스크톱(GitHub Desktop)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관리 솔루션과 연동돼 소스코드 유통 과정에서도 암호화를 유지한다. 파수는 "파일 사용시 속도 저하가 적고, 사용권한 통제 및 사용이력 기능 등을 제공한다"면서, "사용 애플리케이션의 변동이나 업그레이드 시에도 간편한 등록으로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해 유지관리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파수의 조규곤 대표는 “파수가 선보이는 소스코드 보안은 강력한 DRM이 소스코드 유통 전 과정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사용성 또한 뛰어나, 전세계적으로 수요는 높지만 해결책이 마땅찮았던 글로벌 소스코드 보안 시장을 새롭게 개척할 수 있게 됐다”며, “문서보안으로 시작해 도면 파일과 소스코드까지 영역을 넓힌 파수는 애플리케이션 보안 자회사인 스패로우와 함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 전체의 보안을 제공하는 기업이 됐다”고 말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3-07 조회수 : 896
가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탑재한 러닝 GPS 스마트워치 출시
가민이 아몰레드(AM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차세대 러닝용 GPS 스마트워치 '포러너 265(Forerunner 265)’ 시리즈와 ‘포러너 965(Forerunner 965)’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42mm 및 46mm의 화면 크기로 출시되는 포러너 265 시리즈는 기존 포러너 255 시리즈의 5버튼 디자인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더해 1.3인치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유저 편의성을 높였다. 여기에 ‘올웨이즈 온(Always-on)’ 디스플레이를 채택해 직사광선이 강한 환경에서도 향상된 가독성을 제공한다. 47mm의 화면 크기를 갖춘 포러너 965는 1.4인치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으며, 경량 티타늄 베젤로 구성되어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강화했다.     두 제품군 모두 러닝을 위한 최상의 훈련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유저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심박수 변동을 추적하고 날씨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난밤 수면 점수 및 오늘의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닝 리포트(Morning Report)’를 통해 하루를 시작하기 전 유용한 개인 맞춤형 정보들을 미리 받아볼 수 있다. 레이스 위젯을 사용하면 러닝 코스의 세부 정보, 날씨 등을 기반으로 예정된 시합에 대한 트레이닝 팁 및 개인화된 일일 권장 운동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맞춤형 훈련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수면 중 심박수 변동을 추적해 회복 상태 및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으며, 수면의 질이나 회복 수준, 훈련 부하 등을 기준으로 트레이닝 준비 점수를 확인할 수 있어 오늘의 운동에 대한 전망을 알려준다. 가민의 ‘퍼스트비트 애널리틱스(Firstbeat Analytics)’ 기능은 최대산소섭취량(VO2 Max), 훈련 부하, 경기력, 훈련 효과 등의 데이터를 확인해 운동을 위한 본인의 컨디션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정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훈련 효과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포러너 265는 손목 기반의 ‘펄스 옥시미터(Pulse Ox)’ 센서를 통해 혈중산소포화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신체 에너지 보유량을 통한 활동 및 휴식 계획 수립을 돕는 ‘바디 배터리’ 기능, 고급 수면 모니터링 및 수면 점수, 스트레스 추적 기능, 그리고 여성 유저를 위한 생리 주기 및 임신 추적 기능 등의 웰빙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포러너 265 시리즈는 운동 및 경기에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트레이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가민 커넥트 앱에 연결할 경우, 직접 시합 정보를 입력하고 시합에 대비한 맞춤형 데일리 운동을 제안받거나 ‘가민 코치(Garmin Coach)’에서 전문적인 코치들이 준비한 운동 제안을 활용할 수도 있다. 야외 훈련 중에 유저들은 ‘페이스프로(PacePro)’를 사용해 설정한 러닝 구간에 맞춰 페이스 가이드를 받을 수 있으며, 멀티 GNSS 위성 시스템을 내장해 까다로운 외부 환경에서도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해 정상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 포러너 265 시리즈는 화면 크기별로 42mm의 포러너 265S와 46mm의 포러너 265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러너 265S의 배터리 수명은 GPS 모드에서 최대 24시간, 스마트워치 모드에서 최대 15일 지속되며, 포러너 265는 GPS 모드에서 최대 20시간, 스마트워치 모드에서 최대 13일까지 사용할 수 있다. 포러너 965는 워치에 더 많은 곡들을 직접 저장할 수 있고 운동 선수들을 위한 추가적인 고급 트레이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부하 비율’ 기능을 통해 운동 간 발생하는 단기 및 중기 부하의 비율을 추적할 수 있으며 ‘클라임 프로(ClimbPro)’ 기능은 등산하는 동안의 경사도 거리, 상승 고도 등의 실시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풀 컬러 지도를 내장하고 있어 운동 선수들은 더 많은 지형과 트랙에서 포러너 965를 활용해 운동에 임할 수 있다. 포러너 965는 GPS 모드에서 최대 31시간, 스마트워치 모드에서 최대 23일의 배터리 수명을 제공한다. 포러너 265 시리즈는 3월 18일부터 온·오프라인 브랜드샵을 비롯한 가민 공식 판매 온·오프라인 스토어에서 구매 가능하다. 포러너 965 시리즈는 향후 국내 판매가 시작될 예정이다. 권장소비자가격은 포러너 265S/265가 58만 9000원, 포러너 965는 81만 9000원이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3-03 조회수 : 721
브라더코리아, 모듈형 컬러 레이저 프린터 HL-L9430CDN 출시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이하 브라더코리아)가 비즈니스 규모에 따라 최적화가 가능한 모듈형 컬러 레이저 프린터 HL-L9430CDN을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비즈니스 환경에 맞게 소모품(토너)과 액세서리(메일박스, 타워트레이 용지함)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필요에 따라 타워트레이 용지함을 추가해 최대 적재 용량을 늘리거나, 각 팀별로 사용하는 용지함을 지정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토너 또한 표준, 대용량, 특대용량으로 구성했다. 특히 특대용량 흑백 토너를 사용하면 토너 교체 없이 최대 1만 5000매까지 인쇄할 수 있다. A4 용지 기준 40ppm의 인쇄 속도와 모듈화된 기능을 통해 생산성을 높여주며, 2400×600dpi 해상도를 적용해 색감과 인쇄 퀄리티를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비즈니스 보안을 위해 안전성도 강화했다. LOCK 3.0 보안 기능으로 관리자 기능을 강화해 개인 또는 그룹이 사용하는 프린터 기능을 각각 제어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NFC) 카드 리더를 내장해 프린터 기능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에서 프린터로 내보내는 인쇄 작업을 암호화해 통신을 보호하는 IP 보안 기능도 추가해 보안이 필요한 다양한 업종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했다. 이외에도 유효 암호 입력 시에만 기밀 문서 인쇄가 가능한 ‘보안 인쇄’, 프린터 드라이버 없이 인터넷을 활용해 원격 프린터가 가능한 ‘클라우드 보안 인쇄’, 인증되지 않은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 접근을 제한하는 ‘잠금 설정 기능’ 등의 보안 솔루션을 탑재했다.   브라더코리아의 최정규 이사는 "고객들이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사용 환경에 따라 모듈화가 가능한 프린터를 선보이게 됐다”며, “나아가 프린팅 기능과 보안 솔루션까지 강화한 만큼 다방면의 비즈니스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3-03 조회수 : 692
HPE, 차세대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 ‘HPE 알레트라 4000’ 시리즈 출시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가 차세대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인 HPE 알레트라 4000(HPE Alletra 4000) 시리즈를 출시했다. HPE 알레트라 포트폴리오는 이번 HPE 알레트라 4000 시리즈를 통해 서버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 인프라스트럭처 기능을 더욱 강화하게 되었다. HPE 알레트라 4000은 엔드-투-엔드의 보안을 강화하는 디자인으로 설계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으로 더욱 직관적인 클라우드 경험을 제공한다.   ▲ HPE 알레트라 4120   HPE 알레트라 4000 제품군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 인프라스트럭처 솔루션인 HPE 알레트라 포트폴리오 내, 최초의 서버 기반 제품이다. 이 제품군은 기존의 HPE 아폴로 4000(HPE Apollo 4000) 브랜드에서 사용된 차세대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운영이 간편한 동시에 데이터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된 현대적인 데이터 인프라스트럭처다. 4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4th Gen Intel Xeon Scalable)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HPE 알레트라 4000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는 고도의 데이터 레이크 및 아카이브에서부터 높은 스루풋(throughput)과 인플레이스 애널리틱스(in-place analytics),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집약적인 워크로드 스펙트럼의 양끝을 아우르는 역량을 갖추었다. 이 제품은 실시간 데이터 처리, 랜섬웨어 차단, 컴플라이언스, 전자증거개시(e-discovery), 비디오 감시, 의료 이미지, 머신러닝 훈련 및 추론, 스트리밍 및 배치 분석(stream and batch analytics), 즉시 공유 가능한 콘텐츠 저장소, 데이터 통합 및 오프로드 등 다양한 부문에 걸쳐 활용할 수 있다. 공급망부터 시스템의 부팅, 해체에 이르기까지 전반을 보호하는 HPE의 역량을 기반으로, HPE 알레트라 4000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는 시스템 및 데이터의 엔드-투-엔드 보안을 더욱 강화하였다.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팩토리에서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HPE 알레트라 4000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는 제로 트러스트 수준의 보안으로 엔지니어링되었으며, 통합적이고 확장가능한 IT 보안과 비즈니스의 민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사용자는 HPE 그린레이크 에지-투-클라우드(edge-to-cloud) 플랫폼에서 HPE 그린레이크 컴퓨터 옵스 매니지먼트(HPE GreenLake for Compute Ops Management)를 통해 HPE 알레트라 4000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를 더욱 용이하게 직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관적인 클라우드 경험으로 이용자는 REST API도 자동화할 수 있다.   ▲ HPE 알레트라 4110   또한 HPE 알레트라 4000 시스템은 HPE 그린레이크와 함께 이용할 수 있어, 프로젝트 배포 시간을 줄여주고 비용 및 IT 리소스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비즈니스의 필요에 따라 비용을 조절해 더욱 유연하게 재정을 관리하는 동시에 운영 속도도 높일 수 있다. 알레트라 4110은 1U all-NVMe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로, 듀얼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가 장착되어 최대 3테라바이트의 DDR 메모리를 보유하고 있다. 이 제품은 퍼포먼스 중심의 데이터 집약적인 워크로드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머신러닝을 위한 데이터 저장, 배포 및 NoSQL데이터베이스, 고성능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고용량 데이터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스트럭처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알레트라 4120은 2U 하이브리드 NVMe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로, 10개의 4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있으며 최대 6테라바이트의 DDR5 메모리를 제공한다. 이 제품은 넓은 범위의 데이터 집약적인 워크로드를 지원하는데 작업 중인 애널리틱스 데이터 레이크, 소프트웨어 정의(software-defined) 스토리지, 컨버지드 데이터 보호 및 딥아카이브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한국HPE의 성이현 카테고리 매니저는 “HPE 알레트라 4000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는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제품으로써 엔드-투-엔드 보안을 자랑하고 더욱 직관적으로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향후 이 제품은 기업들의 데이터 기반 이니셔티브 진행에 박차를 가하고 기업이 혁신을 이루고 비즈니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통한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추출해 내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2-28 조회수 : 802
3D시스템즈, 주얼리 전용 3D 프린터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 출시
  쓰리디시스템즈가 해상도를 높이고 주조 패턴 처리량을 향상시킨 주얼리용 3D 프린터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ProJet MJP 2500W Plus)’를 출시했다.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는 속도와 정밀도를 높여, 선명한 디테일과 미세한 형상의 왁스 3D 프린팅 주얼리 패턴을 생산하도록 개발됐다. 100% 왁스 재료로 3D 프린팅해 정확하고 날카로운 엣지와 선명한 디테일로 미세한 형상의 주얼리 패턴을 제작할 수 있다. VisiJet 왁스 재료는 결함이 없는 주조 패턴 제작을 위해 재(ash)가 전혀 함유되지 않은 표준 주조 왁스처럼 녹일 수 있다. 주얼리 산업의 고유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된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는 몇 시간 만에 고해상도 100% 왁스 주조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고해상도 프린팅 모드를 사용하면 폴리싱 작업이 덜 필요한 동급 최고의 보드라운 순수 왁스 주조 패턴을 구현해 귀금속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형상을 포함해 모든 주얼리 스타일을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생성, 반복 및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쓰리디시스템즈의 설명이다. 한편, 수작업 폴리싱은 인력과 재료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데,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는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왁스 재료 소비를 늘리지 않고 Z축 해상도를 최대 2배 향상시키는 새로운 HD 프린팅 모드를 포함시켰다. 그 결과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는 고품질의 표면 마감 최종 부품을 수작업으로 폴리싱할 필요성이 줄어들어, 사용자는 폴리싱이 필요 없는 더 복잡한 디자인을 생산할 수 있다.     수요와 고품질 조건을 모두 충족하려면 빠른 설계 반복, 맞춤화 및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는 기존 솔루션에 비해 처리량을 최대 25%까지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됐다. 프린터의 생산성이 높아짐에 따라 고객은 부품 수급 시간을 줄이고 생산 계획의 유연성도 높일 수 있다. 주얼리 주조용 3D 프린터인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와 VisiJet 왁스 소재 및 3DSprint 소프트웨어를 통해, 대량의 주얼리 생산을 위한 정밀한 100% 왁스 주조 패턴을 빠르고 일관되게 생산할 수 있다. 쓰리디시스템즈는 "향상된 해상도와 생산성을 갖춘 새로운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의 혁신으로, 고객은 뛰어난 디자인 스타일을 제공하는 동시에 패턴 생산 시간과 운영 비용을 줄이고 대량 맞춤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100% 왁스 솔루션의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한 주조로 사용자는 높은 처리량을 갖춘 비용 효율적인 고품질 주조 패턴을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수진 작성일 : 2023-02-27 조회수 : 851
총 게시글 2,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