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KOEN의 디지털 트윈 발전소 구축 사례
AWS IoT를 활용한 스마트 공장의 구현
엔진 기어박스 스캔 데이터의 역설계 작업 과정
  • 전체
  • 범용
  • 기계
  • 건축
  • 그래픽
  • 기타
KOEN의 디지털 트윈 발전소 구축 사례
인공지능과 3D 시각화, 초연결로 발전 운영 시스템의 통합 및 표준화 구현   한국남동발전(KOEN)은 다양한 디지털 전환 사업을 시행 중이며, 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디지털 인프라, 디지털 발전소, 디지털 라이프, 디지털 신사업이라는 네 가지 추진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중 두 번째 추진 전략인 디지털 트윈을 적용한 디지털 발전소의 구축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김명규 한국남동발전 디지털융합처 ICT기획부의 차장으로, 디지털 트윈 등 디지털 전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숭실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부 학사,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석사를 거쳐 ICT 및 정보보안 분야에서 17년째 근무하고 있다. 이메일 | markim@koenergy.kr 홈페이지 | www.koenergy.kr   한국남동발전은 2001년 4월 전력산업구조개편법에 따라 한국전력으로부터 1개의 원자력과 5개의 화력으로 분할된 발전 전문기업이다. 인천광역시 영흥발전본부를 포함해 5개 발전본부와 설비용량 1만 376MW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전력의 약 7.3%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한국남동발전은 KOEN(Korea Energy)이라는 영문 회사명으로 국내외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를 지향하고 있다.   그림 1. 한국남동발전 현황   디지털 트윈 발전소 구축 목표 및 단계별 추진 계획 KOEN의 디지털 트윈 발전소 구축 목표는 ‘디지털화된 발전소 정보 제공으로 쉽게 발전 운영이 가능한 미래 발전소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OEN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디지털 트윈 기술 보고서’에 명시된 디지털 트윈 성숙도 모델을 기준으로 5단계 수준의 레벨 중 발전소 현장 여건과 비용 효과 측면을 고려하여, 3단계인 ‘동적 디지털 트윈’까지를 1차 목표로 정하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총 4단계의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1단계 시범 구축 ▲2단계 KOEN형 디지털 트윈 표준 모델 완성 ▲3단계 신규 건설 복합발전소 적용 ▲4단계 국내외 에너지 산업 분야에 디지털 전환 신사업 진출 등 계획을 세워 추진 중에 있으며, 2023년 3월 현재 2단계 사업인 KOEN형 디지털 트윈 표준 모델 완성 단계를 추진하고 있다.   그림 2. 디지털 트윈 성숙도 모델(출처 : ETRI)   그림 3. KOEN 디지털 트윈 추진 단계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김명규 작성일 : 2023-05-02 조회수 : 838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7)
Express Tools, 문자 기능 소개   오토캐드와 양방향으로 호환되는 국산 CAD인 캐디안(CADian)의 2023 버전에서는 이전 버전부터 제공되던 Express Tools 기능이 동일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캐디안 2023 버전에 탑재된 Express Tools의 문자 관련 기능 몇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최영석 인텔리코리아 기술지원팀 부장으로 기술지원 업무 및 캐드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cad@cadian.com 홈페이지 | www.cadian.com 카페 | https://cafe.naver.com/ilovecadian   문자 수정(TextModify) 기능 선택한 문자 객체의 속성, 문자 내용 수정 및 제거를 한번에 일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되어, 보다 편리하게 문자 수정이 가능하다.   1. 메뉴 : Express → 문자 → 문자 수정 항목을 클릭하거나, 명령 창에 ‘textmodify’를 입력한다.     2. 수정하고자 하는 문자 객체를 클릭 또는 드래그하여 선택한 후 Enter 키를 입력한다.     3. 문자 수정 창이 실행된다. 위쪽에는 현재 선택한 문자열과 변경 후 적용될 문자열이 표시되며, 아래쪽에는 각종 기능에 관한 탭(tab)과 수정 항목이 표시된다.     4. ‘속성변경’ 탭에서는 문자의 높이, 각도 등 문자 속성을 수정할 수 있다.     5. ‘화면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변경 내용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Esc 키를 입력하면 문자 수정 창으로 다시 돌아온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최영석 작성일 : 2023-05-02 조회수 : 828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4 (1)
아레스 캐드 2024의 신규 기능   DWG 호환 CAD인 독일 그래버트(Graebert)의 아레스 캐드(ARES CAD)는 PC 기반의 아레스 커맨더(ARES Commander), 모바일 기반의 아레스 터치(ARES Touch), 클라우드 기반의 아레스 쿠도(ARES Kudo)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듈은 상호 간에 동기화되어 삼위일체형(Trinity) CAD라고 불린다. 이번 호에서는 오토캐드와 호환되는 데스크톱 PC 기반 아레스 커맨더 2024 버전의 새로운 기능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다.   ■ 천벼리 인텔리코리아 3D 솔루션 사업본부 대리로 기술영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ares@cadian.com 홈페이지 | www.arescad.kr 블로그 | https://blog.naver.com/graebert  유튜브 | www.youtube.com/GraebertTV   도구 팔레트 명령어 : TOOLPALETTES     사용자 정의 도구와 이전에 생성된 데이터 모음을 가져오거나 내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오토캐드 사용자를 아레스 캐드로 원활하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새 도구 팔레트(Tool Palettes)를 작성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이제 도구 팔레트를 오토캐드에서 재사용하거나 아레스 커맨더에서 새로운 도구 팔레트를 만들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맞춤형 도구와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AD 사용자들은 각각의 프로젝트에서 비슷한 도면 세트를 작성하기 때문에, 같은 유형의 도구와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필요하다. 만약 사용자들이 도면 파일과 응용 프로그램 세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필수 요소들을 도구 팔레트 한 곳에서 찾을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이러한 도구와 데이터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블록 기하학적 도면요소(예 : 선, 호) 해치 및 채우기 주석 엔티티(예 : 텍스트, 치수, 테이블) 시스템 변수  LISP 루틴 Xrefs - 도면 및 이미지 첨부   맥, 리눅스 버전 리본 메뉴     아레스 커맨더의 윈도우 버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리본(Ribbon) 인터페이스(UI)가 이제 맥OS(MacOS) 및 리눅스(Linux) 버전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도구를 숨기지 않고 쉽게 액세스하거나 아이콘으로 명령을 쉽게 기억하는 등, 세 가지 플랫폼에서 모두 상황에 맞는 리본 인터페이스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천벼리 작성일 : 2023-05-02 조회수 : 832
드론 자율비행 제어 지원 플랫폼 픽스호크의 소개 및 사용 방법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이번 호에서는 드론 자율비행 제어 시 자주 사용되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픽스호크(PX4)에 대한 소개, 개발 역사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강태욱 건설환경 공학을 전공하였고 소프트웨어 공학을 융합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분석하거나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건설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이와 관련된 작은 메시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BIM/GIS/FM/BEMS/역설계 등과 관련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메일 | laputa99999@gmail.com 페이스북 | www.facebook.com/laputa999 홈페이지 | https://dxbim.blogspot.com 팟캐스트 | http://www.facebook.com/groups/digestpodcast   픽스호크는 무선 통신 장치인 텔레메트리(telemetry)가 연결된 그라운드 스테이션(ground station, 보통 노트북)에 설치된 오픈소스인 미션플래너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미션플래너 지도 상에 사용자가 입력한 경로(waypoint)를 무선으로 픽스호크에 전송하고, 픽스호크는 드론이 자율비행할 수 있도록 모터 등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이때, 드론에 연결된 센서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미션플래너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ROS(Robot Operating System)와 PX4-ROS 브리지(bridge)를 통해 통신할 수 있어,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ROS에서 처리된 정보를 비행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림 1. PX4 기반 자율비행 시스템 개발 사례(Autonomous flight mission in ROS using MavROS + PX4 + Gazebo)   Pixhawk PX4 소개 픽스호크는 로렌츠 마이어(Lorenz Meier)가 2008년 개발한 오픈소스 자율비행 지원 도구이다. ETH Zurich 석사 연구 프로젝트로 진행했으며, 주변 14명의 팀원을 모아 개발되었다. 이후 개발 역사는 다음과 같다. 2009년 : 9개월동안 개발. 실내 드론 비행 관련 유럽 초소형 항공기 대회 우승. 팀 이름이 픽스호크였음. 오픈소스로 릴리스함. 개발된 통신 프로토콜 MAVLink는 산업계 표준이 됨.  2011년 : 이전까지 개발된 소스코드 폐기 후 재개발. 이 결과로 PX4가 개발됨. 드론 제조업체인 3D 로보틱스(3D Robotics)와 협업해 하드웨어 구축 및 판매 시작. 아두파일럿(ArduPilot)과 협력해 호환성 추가. 하드웨어 설계 문서는 깃허브(github(에 공개함. QGroundControl 미션 플래너 개발.  기능 추가 후 전체 코드 자동 테스트 수행됨. 매월 평균 1000회 테스트 비행 거침.  2014년 : 드론코드(Dronecode) 설립. 개방형 기술 표준 추진. 오픈소스 커뮤니티로 9600 명 이상 사용자 및 600명 이상 기여 개발자로 성장.  2019년 : 개발 코드가 150만 줄로 성장. 2020년 : 스카이노드(Skynode)를 통해 LTE 클라우드 연결 지원. 무선 업데이트 지원.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강태욱 작성일 : 2023-05-02 조회수 : 890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6)
Express Tools, 수정 기능 소개   오토캐드와 양방향으로 호환되는 국산 CAD인 캐디안(CADian) 2023 버전에서는 이전 버전부터 제공되던 Express Tools 기능이 동일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캐디안 2023 버전에 탑재된 Express Tools의 수정 관련 기능 몇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최영석 인텔리코리아 기술지원팀 부장으로 기술지원 업무 및 캐드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cad@cadian.com 홈페이지 | www.cadian.com 카페 | https://cafe.naver.com/ilovecadian   XY 축척(xyscale) 기능 지정한 객체를 X축과 Y축 양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축척)하며, X축과 Y축의 축척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으로만 2배로 확대하거나  Y축으로만 0.5배로 축소할 수 있다.   1. 메뉴에서 Express → 수정 → XY 축척 항목을 클릭하거나, 명령창에 ‘xyscale’을 입력한다.   2. 명령창에 ‘엔티티 선택 :’ 메시지가 표시되면  축척할 객체를 클릭 또는 드래그하여 선택한다.   3. ‘기준점 :’ 메시지가 표시되면 축척의 기준이 될 지점을 클릭하거나 좌표를 입력한다.   4. ‘X 축척 비율 또는 점 지정 :’ 메시지가 표시되면 객체의 X 방향 축척값을 입력한다.   5. ‘Y 축척 비율 :’ 메시지가 표시되면 객체의 Y 방향 축척값을 입력한다.   6. X 축척 : 2, Y 축척 : 1로 입력 시 그림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만 확대된다.   7. X 축척 : 1, Y 축척 : 2로 입력 시 그림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만 확대된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최영석 작성일 : 2023-03-31 조회수 : 1880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3 (11)
지정된 요소 세트 정렬   DWG 호환 CAD인 독일 그래버트(Graebert)의 아레스 캐드(ARES CAD)는 PC 기반의 아레스 커맨더(ARES Commander), 모바일 기반의 아레스 터치(ARES Touch), 클라우드 기반의 아레스 쿠드(ARES Kudo)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듈은 상호 간에 동기화되므로 이를 삼위일체형 CAD라고 부른다. 이번 호에서는 오토캐드 호환인 데스크톱 PC 기반의 아래스 커맨더 2023 버전의 지정된 요소 세트 정렬(Align X)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천벼리 인텔리코리아 3D 솔루션 사업본부 대리로 기술영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ares@cadian.com 홈페이지 | www.arescad.kr 블로그 | https://blog.naver.com/graebert 유튜브 | www.youtube.com/GraebertTV   지정된 요소 세트 정렬 AlignX 명령을 사용하여 처음 선택한 항목에 따라 지정된 항목 집합을 정렬한다.   그림 1. AlignX 기능   AlignX 기능은 다음 요소를 정렬할 수 있다. 스플라인, 폴리선, 선 호, 원, 타원, 타원형 선 텍스트 요소(Notes 및 Simple Notes) 해치, 이미지, 블록 치수   지정된 요소세트를 정렬하는 방법 1. 명령 창에 ‘AlignX’를 입력하거나, 리본 메뉴에서 홈 → 수정 → X 정렬을 클릭한다.   그림 2. Align X 기능 실행   2. 그래픽 영역에서 정렬 기준이 될 첫 번째 요소를 지정(클릭)한다.   그림 3. 첫 번째 요소 지정   3. 정렬할 다른 모든 항목을 선택하고 Enter 키를 누른다.   그림 4. 다른 요소 지정   4. 정렬 옵션을 지정 후 Enter를 누른다.   그림 5. 정렬 옵션 지정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천벼리 작성일 : 2023-03-31 조회수 : 1850
pyRevit 애드인 기능을 사용해서 수정 기호를 손쉽게 적용하는 방법
레빗에서 알아 두면 아주 유익한 꿀팁 시리즈 (17)   레빗(Revit)에는 수많은 기능들이 있고, 각각의 기능은 옵션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혹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서 효율적인 측면에서 아주 많은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래서 앞으로 레빗에 있는 수많은 기능들 중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잘 모르는 기능이나 알고 있는 기능이라고 할지라도 좀 더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꿀팁에 대해서 살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이번 호에서는 레빗에서 수정 기호(Revision)를 손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레빗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각각의 시트에서 일일히 적용하거나 변경해야 한다. 하지만, pyRevit 애드인에 있는 기능을 사용하면 여러 개의 시트에 빨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겠다.   ■ 장동수 미국 시카고에 위치한 BKV Group에서 AutoCAD, Revit, Navisworks, Dynamo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시니어 BIM 매니저로 근무하고 있다. 저서로는 ‘Do it! 레빗 - BIM 설계의 시작(2016)’, ‘실전 Dynamo 완전정복(2018)’, ‘Do it! 건축 BIM을 위한 Revit 입문(개정판, 2020)’ 등이 있다. 이메일 | nerkerr@gmail.com 블로그 | http://blog.naver.com/nerkerr 유튜브 | http://www.youtube.com/c/BIMVDCTV   레빗에서는 추가적인 애드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정 기호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각각의 시트에서 적용될 수정 기호를 선택해서 적용할 수 있는 반면에, 여러 개의 시트에 동시에 적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시트의 수가 많은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그만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면 먼저 레빗의 고유 기능을 사용해서 수정 기호를 시트에 적용하는 과정을 먼저 살펴 보겠다.   1. 뷰 탭에서 수정 기호 아이콘을 클릭한다.   그림 1   2. 수정 기호 팝업창에서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정 기호를 작성한다. 새로운 수정 기호를 추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추가 버튼을 사용해서 추가하면 된다.   그림 2   3. 원하는 수정 기호를 모두 생성했다면, 이제 수정 기호를 적용할 시트도 이동한다.   4. 시트에서 특성 창을 살펴 보면 <그림 3>과 같이 시트의 수정 기호라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 있는 편집 버튼을 누른다.   그림 3   5. 팝업창에서 해당 시트에 적용하기 원하는 수정 기호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그림 4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장동수 작성일 : 2023-03-31 조회수 : 1891
[무료다운로드]ChatGPT-3 인공지능 기반 자동 프로그래밍 사용기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이번 호에서는 최근 사람들의 뜨거운 관심을 끌고 있는 ChatGPT-3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자동 코딩 사용기 및 GPT의 장단점을 정리한다.   ■ 강태욱 건설환경 공학을 전공하였고 소프트웨어 공학을 융합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분석하거나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건설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이와 관련된 작은 메시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BIM/GIS/FM/BEMS/역설계 등과 관련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메일 | laputa99999@gmail.com 페이스북 | www.facebook.com/laputa999 홈페이지 | https://dxbim.blogspot.com 팟캐스트 | http://www.facebook.com/groups/digestpodcast   일부 언론에서는 챗GPT(ChatGPT)를 이용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한다. 이번 호에서는 실제로 챗GPT가 어느 정도 수준의 개발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해보도록 한다. 실제 몇 가지 테스트를 해보면, 잘 알려진 특정 분야(코드 개발 패턴이 정형화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한해 사용할 만한 코드를 만들어 낸다.   챗GPT 테스트 BIM(빌딩 정보 모델링) 표준 파일인 IFC 파서로 주로 많이 사용되는 IfcOpenShell을 이용해 특정 속성을 검색하는 코드를 챗GPT에서 생성해 보겠다. 챗GPT의 사용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https://chat.openai.com/chat에 로그인, 접속한다.   2. 다음 문장을 프롬프트에 입력한다. load BIM.ifc using IfcOpenShell and return the element which project name is 'DDP' in python   3. 챗GPT가 학습된 소스코드를 바탕으로 유사한 패턴의 코드가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import ifcopenshell   # open the IFC file ifc_file = ifcopenshell.open("BIM.ifc")   # access the building elements in the IFC file building_elements = ifc_file.by_type("IfcBuildingElement")   # iterate over the building elements for element in building_elements:    # access the properties of each element    properties = element.IsDefinedBy    for property in properties:       # check if the property name is "Project" and the property value is "DDP"       if property.Name == "Project" and property.Value == "DDP":       # return the element if the condition is met       print(element)       break   4. 이 코드를 직접 입력해 실행해본다.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실제로는 사용되는 API 등이 정확하지 않아,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챗GPT 생성 코드의 실행 에러     이 기사는 한시적으로 무료 다운 가능합니다.(~5.31)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강태욱 작성일 : 2023-03-31 조회수 : 2021
레빗에서 알아 두면 아주 유익한 꿀팁 시리즈 (16)
평면도와 천장 평면도에서 View Range 차이를 이해하기   레빗(Revit)에는 수많은 기능이 있고, 각각의 기능은 옵션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혹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효율적인 측면에서 아주 많은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래서 앞으로 레빗에 있는 수많은 기능들 중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잘 모르는 기능이나 알고 있는 기능이라고 할지라도 좀 더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꿀팁에 대해서 살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이번 호에서는 레빗에서 각 뷰에서 나타나는 범위를 지정하고 있는 View Range에 대해서 살펴 보겠다. 많은 레빗 사용자들이 평면도와 천장 평면도에서 View Range가 적용되는 차이에 대해서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서 살펴 보겠다.   ■ 장동수 미국 시카고에 위치한 BKV Group에서 AutoCAD, Revit, Navisworks, Dynamo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BIM 매니저로 근무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Do it! 레빗 . BIM 설계의 시작(2016)’, ‘실전 Dynamo 완전정복(2018)’, ‘Do it! 건축 BIM을 위한 Revit 입문(개정판, 2020)’ 등이 있다. 이메일 | nerkerr@gmail.com 블로그 | blog.naver.com/nerkerr 유튜브 | www.youtube.com/c/BIMVDCTVV   View Range는 레빗에서 네 개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평면도나 천장 평면도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 요소들이 어떤 그래픽으로 표현되는지를 결정한다. 네 개의 평면은 다음과 같다. Top Plane : Cut plane의 위에 위치한 평면이며, 일반적으로는 각 레벨에서 2300mm(7’-6”) 정도 높이에 위치한다. Cut Plane : Cut Plane은 평면도나 천장 평면도에서 어떤 높이에서 모델을 자를지를 결정하는 평면으로 Top Plane과 Bottom Plane의 사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는 각 레벨에서 1200mm(4’-0”) 정도 높이에 위치한다. Bottom Plane : View Range에서 아래 평면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는 각 레벨 높이에 위치한다. View Depth : View Depth는 뷰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는 범위로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추가적인 범위를 표현해야 할 경우에는 사용한다.   평면도에서 View Range가 작동하는 방법 평면도에서는 <그림 1>과 같이 Top Plane, Cut Plane, Bottom Plane, View Depth의 순서로 배치되며, 이 순서를 어길 수 없다. <그림 1>에서 Cut Plane을 기준으로 전체 모델을 자른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는 것이 레빗에서 평면도가 생성되는 방법이며, 빨간색 해치 영역이 평면도에서 나타나게 된다.   그림 1   빨간색 해치 영역에 포함된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가는 선으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가시성/그래픽에서 Projection 영역으로 이해하면 된다. Cut Plane과 만나는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선으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가시성/그래픽에서 Cut 영역에 해당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View Depth는 옵션에 해당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Bottom Plane과 같은 높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만약 추가로 사용할 경우에는 Bottom Plane보다 낮은 높이에 설정할 수 있다. View Depth가 Bottom Plane보다 높게 설정될 수는 없다. 일반적인 평면도의 View Range 설정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 전체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장동수 작성일 : 2023-03-03 조회수 : 2390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5)
Express Tools, 문자 기능 소개   오토캐드와 양방향으로 호환되는 국산 CAD인 캐디안(CADian)의 새로운 버전인 캐디안 2023에서는 이전 버전부터 제공되던 Express Tools 기능이 동일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캐디안 2023 버전에 탑재된 Express Tools의 문자 관련 기능 몇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최영석 인텔리코리아 기술지원팀 부장으로 기술지원 업무 및 캐드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cad@cadian.com 홈페이지 | www.cadian.com 카페 | https://cafe.naver.com/ilovecadian   문자 맞춤(textfit) 기능 문자를 지정한 객체의 내부, 또는 두 지점 사이에 딱 들어맞게 작성될 수 있도록 글자의 폭을 늘리거나 줄여준다. 1. 메뉴에서 Express → 문자 → 문자 맞춤 항목을 클릭하거나, 명령창에 ‘textfit’를 입력한다.     2. 명령창에 ‘늘리거나 줄일 문자 선택:’ 메시지가 표시되면 늘리거나 줄일 문자객체(text)를 클릭하여 선택한다.     3. 끝점을 지정하거나 [시작점(S)]: 메시지가 표시되면 문자 객체를 늘이거나 줄일 거리를 지정하거나, ‘S’를 입력하여 거리의 시작점을 클릭한다. 4. ‘새로운 점 지정:’ 메시지가 표시되면 문자 객체의 (길이) 시작점을 클릭하여 지정한다.     5. 끝점: 메시지가 표시되면 문자 객체의 (길이) 끝점을 클릭하여 지정한다.     6. 그 즉시 문자 객체의 폭이 지정한 길이에 맞게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 전체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최영석 작성일 : 2023-03-03 조회수 : 2097
총 게시글 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