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빗에서 알아 두면 아주 유익한 꿀팁 시리즈 (16)
평면도와 천장 평면도에서 View Range 차이를 이해하기
레빗(Revit)에는 수많은 기능이 있고, 각각의 기능은 옵션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혹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효율적인 측면에서 아주 많은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래서 앞으로 레빗에 있는 수많은 기능들 중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잘 모르는 기능이나 알고 있는 기능이라고 할지라도 좀 더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꿀팁에 대해서 살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이번 호에서는 레빗에서 각 뷰에서 나타나는 범위를 지정하고 있는 View Range에 대해서 살펴 보겠다. 많은 레빗 사용자들이 평면도와 천장 평면도에서 View Range가 적용되는 차이에 대해서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서 살펴 보겠다.
■ 장동수
미국 시카고에 위치한 BKV Group에서 AutoCAD, Revit, Navisworks, Dynamo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BIM 매니저로 근무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Do it! 레빗 . BIM 설계의 시작(2016)’, ‘실전 Dynamo 완전정복(2018)’, ‘Do it! 건축 BIM을 위한 Revit 입문(개정판, 2020)’ 등이 있다.
이메일 | nerkerr@gmail.com
블로그 | blog.naver.com/nerkerr
유튜브 | www.youtube.com/c/BIMVDCTVV
View Range는 레빗에서 네 개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평면도나 천장 평면도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 요소들이 어떤 그래픽으로 표현되는지를 결정한다. 네 개의 평면은 다음과 같다.
Top Plane : Cut plane의 위에 위치한 평면이며, 일반적으로는 각 레벨에서 2300mm(7’-6”) 정도 높이에 위치한다.
Cut Plane : Cut Plane은 평면도나 천장 평면도에서 어떤 높이에서 모델을 자를지를 결정하는 평면으로 Top Plane과 Bottom Plane의 사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는 각 레벨에서 1200mm(4’-0”) 정도 높이에 위치한다.
Bottom Plane : View Range에서 아래 평면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는 각 레벨 높이에 위치한다.
View Depth : View Depth는 뷰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는 범위로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추가적인 범위를 표현해야 할 경우에는 사용한다.
평면도에서 View Range가 작동하는 방법
평면도에서는 <그림 1>과 같이 Top Plane, Cut Plane, Bottom Plane, View Depth의 순서로 배치되며, 이 순서를 어길 수 없다. <그림 1>에서 Cut Plane을 기준으로 전체 모델을 자른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는 것이 레빗에서 평면도가 생성되는 방법이며, 빨간색 해치 영역이 평면도에서 나타나게 된다.
그림 1
빨간색 해치 영역에 포함된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가는 선으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가시성/그래픽에서 Projection 영역으로 이해하면 된다.
Cut Plane과 만나는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선으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가시성/그래픽에서 Cut 영역에 해당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View Depth는 옵션에 해당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Bottom Plane과 같은 높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만약 추가로 사용할 경우에는 Bottom Plane보다 낮은 높이에 설정할 수 있다. View Depth가 Bottom Plane보다 높게 설정될 수는 없다.
일반적인 평면도의 View Range 설정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 전체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장동수
작성일 : 2023-03-03
조회수 : 2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