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디자인 산업 현황과 2025년 디자인 R&D 추진방향
2025-02-01 271 0

디자인 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국내 디자인 산업이 20조원 규모로 성장했고 우리 디자인기업들이 지난해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에서 736건을 수상(전체의 13%)하는 등 글로벌 무대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산업부는 2025년을 디자인 산업의 새로운 도약 계기로 삼아, ①디자인 기업 역량강화, ②디자인 산업 외연확대, ③혁신 인프라 구축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디자인 산업을 중점 지원하기 위한 「글로벌 수준 디자인 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K-디자인 스타 기업 육성, ‘한국형 비핸스’플랫폼 구축, K-디자인 선행 연구센터 등 신규사업을 추진하고, 200억원 규모의 디자인 R&D 신규과제 등 올해 약 1,000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트렌드 분석, 디자인 유사도 검색 등 3대 AI 서비스 개발과 함께 디자인 프로세스 전주기에 필요한 7개의 디자인 AX 선도 프로젝트에 올해 110억원을 투자하여 작년 발표한 AI 디자인 확산 전략을 속도감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 글로벌 수준 디자인기업 육성방안

[수요] 디자인 활용범위·분야 확장으로 협업 확대
① 디자인 기업 홍보·매칭 플랫폼인 한국형 비핸스(Behance) 구축
- 디자인 전문기업의 ❶기업개요(인력, 기업규모, 전문분야), ❷포트폴리오 등 정보를 제공하여 디자인 활용기업에 빠르게 정보 전달
② 민간·공공 영역의 서비스 디자인 수요기반 확대
③ 중소·중견 청년 디자이너 교육기관 설치(’25년 시범 사업~)
 [공급] K-디자인 스타 기업 프로젝트 추진
ㅇ 디자인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을 위한 성장
단계별 디자인기업 맞춤 육성 추진
- ①(초기) 디자인 테크 유망기업 육성, ②(혁신) 디자인 혁신(융합·심화형)
기업 육성*, ③(글로벌) 로드맵 기반 디자인 기업 해외진출 지원
** 디자인-제조 기업 피치 데이(밋업) 프로젝트 추진 (‘25년 신규 추진~)
예시 : 의료기기 등 신산업장비 → 로봇 → 가전 → 가구 → ICT 산업 順


2. 2025년 디자인 R&D 추진방향

□ (목적) ➀ 디자인산업의 역량·경쟁력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고도화하고, ➁ 유망산업과 융합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디자인 개발
□ (방향) 기존디자인-제조 융합기술의 제품화 → 개선디자인 생산성과 역량을
높이는 ➀ 디자인 요소기술 및 이를 활용한 ➁ 도전·혁신 디자인 개발
□ 사업 및 예산구조 (’25년 신규과제 : 189.4억원)
ㅇ (디자인 핵심기술 개발) 113억원, 7개 과제(품목지정)
ㅇ (디자인-제조 융합기술 개발) 60억원, 13개 과제(품목지정)


3. 디자인 산업 현황

□ (디자인개념) 제품, 서비스 등의 미적·기능적·경제적 가치를 최적화 하여 생산자 및 소비자의 물리적·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창작 및 개선 행위와 결과물(산업 디자인진흥법 제2조 정의)
* 제품·포장·환경·시각·서비스 디자인
□ (산업규모) 국내 시장규모 19.3조원, 연평균 4.2% 성장(2018~2022)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증감률
디자인산업 16.4조원 16.8조원 17.5조원 20.2조원 19.3조원 -4.5%
ㅇ (세계시장*) 산업디자인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 예상, ‘22년 3,630억불 규모로 추산됨
* 미국, 중국, 이탈리아, 대만 등 37개 국가 매출규모 합산
□ (인력규모) ’22년 기준 디자인종사자* 수는 31.2만명으로 최근 5년간 증가 추세를 보임
* (’18)28만명 → (’19)28.3만명 → (’20)28.5만명 → (’21)30.3만명 → (’22)31.2만명
ㅇ 디자인학과 졸업자*는 매년 2만명 수준
* (’18)2.2만명 → (’19)2.1만명 → (’20)2.1만명 → (’21)2.1만명 → (’22)2.0만명
□ (디자인 전문기업) 디자인전문기업 수*는 증가 중이나 대부분 영세하고 평균 매출액** 정체
* (’18)5,570개 → (’19)6,264개 → (’20)7,229개 → (’21)19,465개 → (’22)20,290개
** (’18)6.5억원 → (’19)6.3억원 → (’20)6.1억원 → (’21)3.5억원 → (’22)3.1억원
□ (디자인 활용률) 우리 제조기업의 디자인 활용률은 ’22년 기준 37.3%로 전년과 유사
* (’18)35.9% → (’19)37.1% → (’20)39.9% → (’21)37.4% → (’22)37.3%
※ 디자인 활용률 : 디자인산업분류(한국표준산업분류 중 디자인과 연관성 높은업종 재분류)
내 5인이상 사업체 중 디자인을 활용하는(①디자인 부서 보유업체, ②디자이너 고용업체, ③디자인 외주 용역 발주업체) 업체 비율

 

첨부 파일 : 

1. 2025년 디자인계 신년인사회 행사 개요
2. 글로벌 수준 디자인기업 육성방안
3. 2025년 디자인 R&D 추진방향
4. 디자인 산업 현황

산업통상자원부


  • kakao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달수있습니다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