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2023 서울디자인백서
2024-09-09 2,125 10

서울의 디자인정책과 다양한 디자인사업 소개

 

서울디자인재단(이하 재단)은 서울시와 재단의 디자인정책과 다양한 디자인사업을 담은 <2023 서울디자인백서>를 발간하였다. 정책, 경제, 사회, 도시환경, 문화, 소통 등 총 6가지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2023년에 진행하였던, 디자인을 통해 기업과 시민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업들을 소개한다. 사업들을 체계적이고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어 디자인기업, 디자인 전문가, 디자인에 관심있는 시민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경제’ 영역에는 중소기업에 디자인 지원을 하여 디자인산업의 지속적인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소기업 산업디자인 개발 지원사업’과 최신 트렌드를 발산하고 새로 론칭한 제품을 선보이는 디자인 플랫폼인 ‘서울디자인 2023’ 등을 소개하였고, ‘사회’ 영역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즐기며 운동할 수 있는 ‘여의롤장’, 우수한 디자인기업을 선발하여 약자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적극 지원하는 ‘약자동행 디자인지원 프로젝트’ 등을 소개하였다. 

‘도시환경’ 영역에서는 이번에 지하철 이용객의 가독성을 높이도록 개선된 ‘지하철 노선도’ 등도 소개하였다. ‘문화’ 영역에서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디자인 전시와 서울라이트를 포함한 다채로운 행사들을 소개하였다.


이번 서울디자인백서 발간은 디자인계 및 시민들에게 서울의 디자인 정책의 비전과 디자인사업을 소개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목차

Part 01
서울디자인정책
1-1. 비전과 전략
1-1-1. 서울시 10
1-1-2. 서울디자인재단 14
1-2. 조직과 예산
1-2-1. 서울시 16
1-2-2. 서울디자인재단 20
1-3. 제도(조례)
1-3-1. 공공미술 26
1-4. 운영시설
1-4-1. DDP 30
1-4-2. 서울새활용플라자 34
1-4-3. 서울디자인창업센터 37

Part 02
경제·산업
2-1. 디자인산업
2-1-1. 디자인주도 산업 혁신을 위한 디자인기업 육성 42
2-1-2. 서울디자인 2023 60
2-1-3. DDP디자인론칭페어 70
2-1-4. DDP디자인스토어 운영 72
2-1-5. 글로벌 디자인시장 판로 개척 지원 76
2-1-6. 지속가능 디자인산업 지원 82
2-1-7. 디자인창업센터 프로그램 운영 85
2-2. 새활용산업
2-2-1. 제로웨이스트 전진기지 서울새활용플라자 89

Part 03
사회
3-1. 사회문제해결디자인
3-1-1. 액티브디자인 98
3-1-2. 약자동행 디자인산업 활성화 지원 100
3-1-3. 빛공해 없는 편안한 빛환경 조성 103
3-2. 유니버설디자인
3-2-1.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 수립 107
3-2-2.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109
3-2-3.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고도화 112
3-2-4.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및 확산 114

Part 04
도시·환경
4-1. 도시경관디자인
4-1-1. 도시경관 개선 126
4-1-2. 빛 디자인 131
4-1-3. 간판이 아름다운 도시 134
4-1-4. 미디어아트 서울 136
4-2. 공공디자인
4-2-1. 서울 펀 디자인 143
4-2-2. 2024 서울색 개발 147
4-2-3. 지하철 노선도 152
4-2-4. 디자인협력 프로젝트 ‘서울디자인 X ▭’ 159
4-2-5. 디자인 행정서비스 및 공공디자인 컨설팅 서비스 161
4-3. 공공미술
4-3-1. 공공미술정책 기반 조성 164
4-3-2. 시민참여 공공미술 프로젝트 168
4-3-3. 서울숲 공공미술 프로젝트 174

Part 05
문화
5-1. 전시
5-1-1. 디자인 융합 기획전시 180
5-1-2. 디자인&디자이너 전시 및 DDP 포럼 187
5-1-3. 오픈큐레이팅 196
5-1-4. 협력전시 201
5-1-5. K-컬처 전시 206
5-1-6. 서울디자인정원 208
5-1-7. 디지털디자인 45133 210
5-2. 행사
5-2-1. 서울라이트 216
5-2-2. DDP 시즌별 콘텐츠 224
5-2-3. DDP 투어 228
5-2-4. 서울디자인어워드 231

Part 06
소통
6-1. 연구
6-1-1. 서울디자인백서 확산 패키지 240
6-1-2. 디자인 트렌드 리포트 244
6-1-3. 서울디자인자산 248
6-1-4. 서울디자인리포터 251
6-1-5. 디자이너 아카이빙 254
6-1-6. 매거진 라이브러리 운영 256
6-2. 교육
6-2-1. 새활용 교육 258
6-3. 네트워크
6-3-1. 국내외 디자인 협력, 디자인 교류, 디자인 외교 262
6-3-2.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264
6-3-3. 세계디자인기구(WDO) 267
6-3-4. DDP 멤버십 269

주관 (재)서울디자인재단

 

서언

2023년은 서울이 디자인서울 2.0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이룬 해였다. 디자인서울 2.0은 서울시가 디자인으로 도시를 활기차고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로, 인간, 문화, 콘텐츠 중심의 소프트서울(Soft Seoul)이라는 디자인서울 1.0의 디자인 철학을 계승하면서, 세계적 기준에 부합하는 서울의 디자인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2023년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을 글로벌 TOP5의 경쟁력 있는 디자인 도시로 도약시키기 위한첫 발걸음을 내딛은 해였다. 또한 서울디자인재단은 새롭게 발표된 디자인서울 2.0에 발맞춰 다양한 디자인정책 및 사업을 도입 했다. 

 

비전과 전략

서울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디자인서울 1.0을 통해 하드시티에서 소프트시티로 정책 패러 다임을 전환했다. 이는 기능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자동차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엄숙주의 에서 즐거운 도시로, 관조형 도시에서 참여형 도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도시이미지 조성 사업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사회문제 중심으로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새로운 디자인정책을 통해 활력있는 도시를 만들고자 했다. 이에 디자인서울 2.0을 통해 소프트서울(1.0)에 액티브서울(2.0) 을 더하여 즐거운 활력도시를 조성하고, 기본만들기(1.0)에서 이미지 만들기(2.0)를 통해 서울을 글로벌 TOP5 도시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디자인서울 2.0의 주요 내용은 시정 전반에 디자인 관점을 도입해 서울을 고품격 스마트 디자인 도시로 만들고, 우수 디자인 건축 인센티브제 등을 통해 공공은 물론 민간 영역까지 예술적 감성의 디자인을 확대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경관을 획기 적으로 개선하여 서울을 '디자인 랜드마크'로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디자인서울 2.0의 주요 차별점은 소프트서울(유연함)과 펀더멘털(기본)을 넘어 즐거운 활력 도시를 만들고, 가이드라인 중심 관리체계에서 디자인플랫폼을 통해 협력하는 도시로 진화하는 것에 있다.

이 단계에서는 공감 디자인, 포용 디자인, 공헌 디자인, 회복 디자인, 지속가능 디자인이라는 5가지 원칙이 새롭게 제시되었고, 이를 뒷받침하는 15개의 소원칙이 함께 적용된다.

 

백서다운로드

 

서울디자인재단


  • kakao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달수있습니다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