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뮬레이션기술(코스텍)은 지난 11월 5일 서울 여의도 FKI 컨퍼런스센터에서 ‘2025 코스텍 콘퍼런스(2025 KOSTECH Conference)’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는 디지털 엔지니어링과 시뮬레이션 기술의 최신 동향을 조망하고, 산업 전반의 혁신적 변화를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자동차·조선·에너지·항공우주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관계자와 전문가가 참석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현대자동차 김동휘 팀장의 기조연설로 문을 열었다. 그는 ‘버추얼 개발 강건화를 위한 해석 물성 표준화 전략 : 전산재료과학 기반의 물성 평가 표준화 및 충돌해석 재료 모델 개발’을 주제로, 실제 차량 충돌 해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물성 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과 현대자동차의 추진 방향을 상세히 소개했다. 시뮬레이션이 실제 물리 시험을 대체하고 설계 초기 단계에서의 최적화를 가능케 하는 산업 트렌드 속에서, 김 팀장은 “정확한 재료 모델링이야말로 디지털 개발 체계의 근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플레너리 세션에서는 국내외 각 산업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시뮬레이션의 혁신적 활용 방안을 공유했다. 첫 번째 발표는 임팩트 디자인 유럽(Impact Design Europe)의 아가타 소콜(Agata Sokoll)이 맡았다. 임팩트 디자인 유럽은 폴란드의 소프트웨어 개발사로, MEM이라고 하는 매크로 요소법 기반으로 FEM(유한요소법)을 보완하여 초기 설계 단계에서 빠르게 충돌 해석 및 경량 구조 설계를 할 수 있는 설루션을 제공하는 업체이다.
그는 ‘IDE PreDesign Environment – The Idea of Design with Awareness’라는 주제로, 설계 초기 단계에서 물리적 거동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예측 가능한 디지털 엔지니어링 환경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상대적으로 해석 시간이 오래 걸리는 충돌 해석이나 경량 구조 설계 분야에서 적재적소에 잘 활용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대한조선학회 함정기술연구회 부회장인 한국기계연구원 권정일 책임연구원이 ‘충격 하중에 대한 함정의 생존성 향상을 위한 취약성 평가 방안’을 발표했다. 그는 실제 충돌 및 폭발 환경에서 선체 구조물의 응답을 정량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방호 성능을 높이는 해석 기술의 최신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특히 국방·조선 분야에서의 시뮬레이션 신뢰도 확보와 검증 절차에 대한 구체적 사례가 주목을 받았으며, 실제 해석 영상을 통해 설계에 대한 분석과 연구 활동에 대해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서울대학교 이명규 교수는 ‘유한요소해석의 예측 신뢰성 향상을 위한 재료 및 파단 모델 개발 및 응용’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 교수는 정밀 실험 기반의 파단 거동 분석과 수치해석 연계 기술을 중심으로, 재료 모델의 물리적 타당성과 예측 신뢰성을 높이는 접근법을 제시했다. 그의 발표는 학계와 산업계의 공동 연구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한국시뮬레이션기술은 이번 콘퍼런스가 단순한 기술 교류의 장을 넘어,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시뮬레이션 기반 의사결정의 확산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한국시뮬레이션기술의 이형주 대표이사는 “올해 콘퍼런스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와 연구자의 비전을 한자리에서 듣고 공유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면서, “앞으로도 국내 시뮬레이션 기술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고객사와 함께 실질적인 디지털 혁신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