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피그마, “AI 투자 확대로 디자인 혁신 가속화”
2025-11-06 78 0

피그마(Figma)가 인공지능(AI) 분야의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는 생성형 AI 플랫폼인 위비(Weavy)의 인수와 함께 새로운 제품 업데이트가 포함되어 있다. 피그마는 AI와 인간의 창의성을 융합하여 디자인의 영향력을 확장하고 새로운 표현 방식을 제시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피그마는 생성형 AI 플랫폼 위비를 인수하고, 이를 자사 플랫폼에 ‘피그마 위브(Figma Weave)’로 통합했다고 발표했다. 피그마 위브는 AI 네이티브 창작 환경을 제공하여 여러 AI 모델과 전문가급 편집 도구를 결합해 이미지, 동영상, 애니메이션, 모션 그래픽, VFX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조명 조정, 마스킹, 컬러 그레이딩 등 인간의 세밀한 손길을 통해 AI 생성 소재를 정교하게 다듬어, 협업 캔버스에서 속도와 장인정신이 조화된 창작 경험을 제공한다. 피그마는 인간의 창의성과 AI 생성 기술 간의 이러한 상호보완적 관계가 디자인 진화의 다음 단계를 대표한다고 밝혔다.

 

 

또한, 피그마는 AI 시대를 위한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 시스템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주요 업데이트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피그마는 프롬프트나 기존 디자인을 작동하는 프로토타입과 앱으로 변환하는 AI 기반 도구인 ‘피그마 메이크(Figma Make)’에 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한다. 메이크의 디자인 시스템은 팀들이 브랜드의 정체성과 세련미를 반영하는 견고한 프로토타입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모든 기술 수준의 제품 개발자들이 감각적으로 아이디어를 빠르게 탐색하고 반복할 수 있게 돕는다.

또한, 팀은 메이크 키트(Make Kit)를 활용해 피그마에서 라이브러리를 직접 가져온 다음, 피그마 메이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React 코드 컴포넌트와 스타일 및 변수용 CSS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미 코드베이스에 디자인 시스템을 보유한 팀의 경우, 공개 및 비공개 노드 패키지 매니저(npm) 가져오기를 통해 React 컴포넌트를 가져올 수 있다.

피그마 메이크의 디자인 시스템 통합 외에도 확장 컬렉션(Extended Collections), 슬롯(Slots), 디자인 검증(Check Designs) 등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어, 팀이 높은 수준의 장인정신과 일관성, 성능을 유지하면서 더 다양한 제품과 브랜드로 디자인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피그마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버의 정식 출시와 함께, 개발자들은 VS Code, Cursor, Claude Code 등의 AI 지원 코딩 도구에 피그마의 디자인 컨텍스트를 직접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AI가 디자인의 의도와 스타일을 이해하여 팀이 고유한 디자인에 충실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11월 13일 열리는 ‘디자인 코리아(Design Korea)’ 행사에서 연사로 나서는 피그마의 쇼 쿠와모토(Sho Kuwamoto) 제품 담당 부사장은 “피그마의 비전은 언제나 모든 사람이 디자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으며, AI를 이러한 비전 달성을 위한 강력한 촉진제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를 통해 디자이너가 더 많은 창의적 가능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더 많은 사람들이 디자인하고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한국 기업들이 AI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이들의 통찰력과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배울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정수진 sjeong@cadgraphics.co.kr


출처 : 캐드앤그래픽스 2025년 11월호

  • kakao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달수있습니다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