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가 고객의 회복 탄력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AI 에이전트 기반의 ‘스플렁크 옵저버빌리티(Splunk Observability)’를 발표했다. 강화된 스플렁크 옵저버빌리티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환경의 옵저버빌리티를 통합하고, 실행 가능한 비즈니스 맥락을 제공하며, 전체 인시던트 대응 라이프사이클에 걸쳐 AI로 구동되는 에이전트를 배포하고, 성능과 품질도 동시에 모니터링한다. 스플렁크에 통합된 시스코 기술로 고객은 네트워크,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데이터 인사이트의 가시성과 상관관계를 확보해 디지털 자산 전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AI 에이전트는 선도적인 옵저버빌리티 체계를 구축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AI 지원 코딩이 본격화되면서 점점 더 적은 인력으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동시에 AI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AI 에이전트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모델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비즈니스 목적과 비용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특화된 텔레메트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다양한 환경을 아우르고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통합된 가시성을 확보해야 하며,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어야 한다.
스플렁크는 새로운 AI 에이전트 혁신으로 강화된 스플렁크 옵저버빌리티 포트폴리오를 통해 시스코의 AgenticOps 비전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있다. 이번 혁신은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텔레메트리 수집과 알림 설정을 자동화하고, 문제를 탐지하며,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ITOps 및 엔지니어링 팀이 혁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발전에는 ▲인시던트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잠재적인 근본 원인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AI 트러블슈팅 에이전트(AI Troubleshooting Agents)’ ▲자동화된 알림 상관관계를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 알림 소음을 줄이고 그룹화된 알림에 대해 명확한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벤트 iQ (Event iQ)’ ▲이벤트 iQ의 AI 기반 알림 상관관계와 함께, 그룹화된 알림의 경향과 영향, 근본 원인 등을 자동으로 개요 형태로 제공하여 문제 해결 속도를 높이는 ’ITSI 에피소드 요약(ITSI Episode Summarization)’ 등이 포함된다.
기업이 애플리케이션에 AI와 대규모 언어 모델(LLMs)을 통합하고 AI 에이전트를 도입함에 따라, 기업은 AI가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특화된 분석 기능이 필요하다. 스플렁크는 에이전트, LLM, AI 인프라를 포함한 AI 애플리케이션 스택 전반의 상태, 보안, 비용을 사전에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모델이 비즈니스 목표에 맞게 의도한 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적절한 비용으로 운영되는지를 확인하는 ‘AI 에이전트 모니터링(AI Agent Monitoring)’과 AI 인프라의 상태와 소비를 모니터링하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인프라 모니터링(AI Infrastructure Monitoring)’ 등이 포함된다.
한편, 시스코는 스플렁크 앱다이나믹스와 스플렁크 옵저버빌리티 클라우드의 강점을 결합해 3계층(three-tier) 및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전반에서 통합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시스코 사우전드아이즈(Cisco ThousandEyes)와의 통합도 한층 강화해 ITOps, NetOps, 엔지니어링 팀이 네트워크가 애플리케이션 성능과 최종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스플렁크 옵저버빌리티의 패트릭 린(Patrick Lin) 수석부사장 및 총괄은 “스플렁크의 미션은 명확하다. 기업이 AI 애플리케이션과 에이전트를 활용하고 가시성과 통제력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라면서, “최신 스플렁크 옵저버빌리티 혁신은 기업이 핵심 애플리케이션과 디지털 서비스를 더 쉽게 선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커지기 전에 해결하며, 옵저버빌리티 투자에 걸맞은 성과와 가치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