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월 24일 CNG TV는 ‘자동차 산업의 미래, 메가캐스팅 해석과 활용’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는 생산 효율성과 경량화를 동시에 추구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로 '메가캐스팅'이 주목받고 있다. 메가 캐스팅은 여러 개의 부품을 하나의 주조 공정으로 통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생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차량의 무게를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 박경수 기자
▲ 왼쪽부터 캐드앤그래픽스 박경수 부장, 한국이에스아이 한재형 이사, 민경욱 과장
메가 캐스팅의 해석과 적용 사례
이번 웨비나에서는 캐드앤그래픽스 박경수 부장이 사회를 맡고, 한국이에스아이의 한재형 이사와 민경욱 과장이 메가 캐스팅의 개념, 적용 사례, 그리고 해석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했다.
한재형 이사는 메가캐스팅의 개념에 대해 “메가캐스팅은 여러 개의 부품을 하나로 통합하여 주조하는 기술로, 부품 수를 줄이고 경량화를 통해 생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특히 전기차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의 주행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차량의 경량화가 필수이며, 메가캐스팅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의 감소는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가져와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민경욱 과장은 메가캐스팅의 해석 방법과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해 “메가캐스팅 공법은 부품의 크기와 복잡성으로 인해 해석 과정에서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스아이의 프로캐스트(ProCAST)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주조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테슬라는 모델 Y의 프론트와 리어 섀시를 메가캐스팅 기술로 제작하여 부품 수를 70개 이상에서 단 1개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생산 시간과 비용을 줄였으며, 차량의 경량화로 주행 효율도 높였다.
▲ 한국이에스아이 민경욱 과장
메가캐스팅의 도전 과제와 미래 전망
메가캐스팅 기술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높고 금형 개발에 많은 연구와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또한, 금형의 유연성이 제한적이어서 디자인 변경 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메가캐스팅은 생산 공정의 혁신과 차량 경량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재형 이사는 미래 전망에 대해 “메가캐스팅 기술은 현재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향후 항공, 방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형 부품의 일체형 제작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분야에서 주목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웨비나는 메가캐스팅 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었으며, 이를 통해 자동차 산업의 혁신적인 변화를 엿볼 수 있었다. 앞으로 메가캐스팅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해 나갈지 궁금하다.
▲ 한국이에스아이 한재형 이사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