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국방부는 ‘국방 분야 3D 프린팅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부처는 지난 2017년에도 3D 프린팅 분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부품 제조 기술 개발, 전문 인력 양성 분야 등 협력을 추진하였으며, 단종되었거나 조달이 어려운 군함, 전차 등의 부품을 대체하여 무기체계의 가동률을 높이고 3D 프린팅 부품 제조 기술력을 확보하는 등의 성과를 냈다.
이번 협약은 국방 분야 3D 프린팅의 부처 간 협력을 지속·연장하고, 보다 고도화된 국방부품 제조 능력 확보 등을 위해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국방 3D 프린팅과 관련해 ▲부품 수요 발굴 및 실증 ▲기술 개발 및 제조 공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부품 공급망 및 산업 생태계 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이다.
양 부처는 이번 협약을 통해 핵심 부품의 제작을 위한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 외에도 3D 프린팅 부품 활용 확대에 따른 시장 확대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산업 생태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윤성혁 첨단산업정책관은 “산업부가 축적해 온 R&D, 인프라, 인력 등의 자산과 국방부 및 생기원의 역량이 결집되어 다양한 성과의 창출이 예상된다”면서, “이번 협력이 국방력 강화뿐만 아니라 3D 프린팅 업계의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는 상생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국방부의 이갑수 군수관리관은 “이번 협약은 국방 분야에 3D 프린팅 기술의 확대 적용과 군의 자체 생산 기반 구축을 위해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앞으로도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국방 부품의 자체 제작 능력 확보를 추진하여 전투 장비의 가동률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3D 프린팅의 소재·부품·장비·공정 연구개발을 지속하면서 최근에는 3D 프린팅 관련 디지털 전환, 조선 MRO(유지 보수 및 운영) 관련 기술도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3D 프린팅 분야의 발전을 위한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