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0월 22일, CNG TV는 '자동차 산업에서의 다중소재 접합 및 조립 해석 기술 동향’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웨비나는 자동차 산업에서 다중소재를 효과적으로 접합하고 조립하는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췄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왼쪽부터 캐드앤그래픽스 박경수 부장, 한국이에스아이 최광용 이사, 안장호 부장
이번 웨비나에서는 한국에스아이(ESI) 최광용 이사와 안장호 부장이 발표자로 나서 다중 소재 접합 및 조립 해석의 중요성과 자동차 부품 생산 과정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ESI 그룹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했다. 또한 가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제품 개발 과정에서 가상 시뮬레이션의 중요성과 효율성에 대해서도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최광용 이사는 “ESI의 초점은 중요한 메가 트렌드와 산업의 역풍을 해결하는 설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전기화, 자율주행, 공장 자동화, 사물인터넷(IoT) 등과 같은 산업 분야에서 ESI그룹은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미래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자 하며, 깨끗하고 안전하며 생산적인 산업에 기여하는 최첨단 소프트웨어 설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한국이에스아이 최광용 이사
안장호 부장은 “다중 소재 접합과 조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인 CASE(연결성, 자율주행, 차량 공유, 전기차) 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전통적으로 강철 기반의 단일 제조 공정으로 최적화된 차체 설계가 지배적이었으나, 전기차 시대의 도래로 인해 경량화와 안전성을 위한 멀티 머티리얼 설계가 필요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는 배터리 기술, 자율주행 안전성, 효율적 제조 라인, 탑승자 공간 최적화 등과 같은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 한국이에스아이 안장호 부장
한편 스폿 용접 공정에서 발생하는 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적인 CAD 기반 해석 대신 성형 이력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이 도입되고 있다. 성형품을 스캐닝하고 실제 공정과 동일한 조건에서 시뮬레이션을 진행함으로써 부품 간 편차와 스프링백 변형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개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용접 순서와 클램프 위치를 최적화하여 최종 제품 변형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제조 효율성을 높이는 버추얼 빌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안장호 부장은 버추얼 어셈블리 엔지니어링을 활용해 경량 신소재의 조립 가능성과 품질 평가 사례를 설명했으며, 스팟 용접 공정에서의 변형과 품질 영향을 예측하는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했는데, 이번 발표는 자동차 용접 공정에 초점이 맞춰졌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