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 중계
지난 10월 7일, CNG TV는 ‘전기/전장 부문 DX의 장애요소와 해결 방안’을 주제로 줌(ZOOM) 웨비나를 진행했다. 이번 방송에서는 전기 및 전장 분야의 디지털 전환(DX) 시 장애 요소와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됐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 ■ 박경수 기자
▲ 전기/전장 업무 프로세스의 이해
이번 줌 방송은 CNG TV 전문위원인 디원 류용효 상무가 진행했고, 더블유에스코리아 구형서 대표가 발표자로 참여했다. 구형서 대표는 전기 캐드(CAD) 도입에서부터 전기/전장 업무 프로세스의 이해, 전산화 및 DX의 장애요소, 정책 관점의 비전과 해결 방안, 솔루션 관점의 비전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설명했다.
구형서 대표는 “전기/전장 업무의 진행 방식과 문제점 검토를 통해 전기 도면이 엔지니어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위해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정책적 및 솔루션 관점에서의 접근을 통해 전기 및 전자 시스템 설계에서 DX를 도입하기 위한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더블유에스코리아 구형서 대표
전기/전장 설계 분야에서는 데이터 조작을 비롯해 일관성 없는 사용법, PLM과의 통합 등에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AD 툴을 활용하는 한편 노동 분담, PLM과 ERP 통합 등의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구형서 대표는 반복적인 작업을 지원하고 설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AI 도입을 통해 통합적인 설계가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AI 도구는 반복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한편 잠재적인 오류를 식별함으로써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AI는 데이터를 일관성 있게 업데이트하고 검증함으로써, 변화하는 설계 표준을 준수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형서 대표는 수동 오류를 줄이고 설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AI 기반의 전기 및 전자 CAD 툴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AI 기반 설계 자동화 기능을 지원하는 WSCAD의 ‘ELECTRIX’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또한 설계부터 생산까지의 워크플로를 간소화하기 위해서라도 PLM 통합을 장려한다고 말했다.
▲ 전산화 및 DX의 장애요소
이번 웨비나에서는 전문 CAD 도구를 채택하고 전략적 개선에 집중함으로써 전기 및 전자 설계 분야는 DX 과제를 극복하고 효율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구 형서 대표는 “더블유에스코리아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