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헥사곤, 부천 국제금형콘퍼런스에서 AI 기능 활용한 제조업 협업 강화 전략 제시
2024-11-04 2,213 16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는 11월 1일 열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최의 ‘2024 부천 국제금형콘퍼런스’에 참가해 인공지능(AI) 기능을 통한 제조업 협업 강화에 대한 세션을 진행했다.

올해로 19해째를 맞은 부천 국제금형콘퍼런스는 ‘생성형 AI 금형기술 전망’이라는 주제로 국내외 금형 제조 전문가를 초청해 AI 활용 금형지능화를 위한 다양한 적용 사례 및 신기술을 소개했다.

행사 발표자로 참여한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의 스티븐 그레이엄(Stephen Graham) 부사장 겸 넥서스 총괄은 AI 협업을 통해 제조업의 미래 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또한 제조 현장의 AI 통합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금형 산업을 포함하는 제조업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발표에 따르면 제조업계의 97%가 협업 과제에 직면해 있으며, 협업을 통해 제품 품질 개선(88%), 시장 출시 시간 단축(86%),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82%) 등의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헥사곤의 넥서스(Nexus) 플랫폼은 제조기업의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해 타사 설루션을 포함한 제조 전 과정에 적용되는 다양한 설루션을 구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헥사곤은 넥서스 플랫폼 내 AI 기능을 통해 금형 산업 제조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헥사곤은 설계부터 품질 검사까지 금형 산업의 전과정에 적용 가능한 토털 설루션을 제공한다. 설계 및 시뮬레이션 단계에서는 VISI, MSC 나스트란(MSC Nastran), 피로∙내구 수명 해석 설루션(CAEfatigue) 등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금형 설계, 구조 해석, 피로 수명 예측을 지원한다. 또한 사출 성형 및 금속 성형 해석을 위해서는 비선형 멀티스케일 재료 및 구조 모델링 플랫폼 디지매트(Digimat), 시뮤팩트 포밍(Simufact Forming), FTI 등의 설루션을 제공해 복합 재료 물성 분석과 금속 성형 공정 최적화를 지원한다.

이러한 설루션을 통해 헥사곤은 금형 산업의 효율성 향상과 품질 개선을 지원하며, 제조업체들이 데이터를 활용해 시간, 재료, 장비 사용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레이엄 부사장은 “제조 프로세스의 진정한 통합을 지원하는 넥서스 플랫폼을 통해 금형 제조 과정의 모든 단계를 연결하고 최적화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면서, “헥사곤의 AI 기반 설루션을 통해 한국 금형 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최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코리아의 성 브라이언 사장은 “헥사곤은 금형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AI 기반 설루션의 중요성과 적용 사례를 공유할 수 있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특히 넥서스 플랫폼은 금형 제조 과정의 모든 단계를 연결하고 최적화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국내 금형 산업의 제조 효율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수진 sjeong@cadgraphics.co.kr


출처 : 캐드앤그래픽스 2024년 12월호

  • kakao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달수있습니다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