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칼럼] 디지털 디톡스에서 디지털 안식년까지, 인간의 조건
2024-10-04 2,605 16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올해는 내가 컴퓨터를 시작한 지 50년이 되어 가는 해이다. 처음 접한 컴퓨터는 대학교에 설치된 IBM의 메인프레임이었다. 또한 2008년 3월에 시작한 이 칼럼이 200번째를 맞기도 했다. 

인생이란 짧고 빠르게 지나간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도 생존에 필요하지만, 어떤 목표나 마일스톤이 없다면 인생의 후반은 허무하게도 느껴진다. 우리의 뇌는 일상을 기억하지 않는다. 남의 지식을 설명하는데 대부분의 인생을 소비한다. 책을 쓰거나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때에는 나의 것이 별로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새로운 인공지능 시대에 나의 인생 마일스톤과 목표를 다시 정립해 본다.  

10년 전인 2014년에 ‘인간의 여섯 가지 조건’에 대해서 쓴 적이 있다. 이제 디지털 시대를 맞아 인간의 여섯 가지 조건을 다시 작성해 봤다.

 


그림 1. 인간의 여섯 가지 조건

 

첫 번째 조건은 삶의 의미를 찾고,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것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가지고 어떠한 고난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인생을 살아오면서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 존재이고, 우리의 인생이 얼마나 깨지기 쉬운 것인지를 깨닫는다. 빅토르 프랑클 박사의 ‘삶은 의미를 찾아서 (Man’s Search for Meaning)’ 라는 책을 읽으먼서 많은 것을 얻었던 것 같다. 특히 디지털 시대의 지나치게 많은 디지털 정보 속에서 인간의 막연한 불안감과 타인과 비교하면서 오는 공허감에는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두 번째 조건은 논리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는 것이다. 자신을 지식으로 장식하지 말고, 논리학과 수학을 공부하고 과학적인 사실에 근거한 논리적 분석으로 문제를 해결해서 생존력을 가진다. 사실 인간은 이성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에서 논리적인 조건은 핵심 경쟁력일 수 있다. 대니얼 카너먼의 저서인 ‘생각에 관한(Thinking, Fast and Slow)’을 반드시 읽어 볼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조건은 예술에 대한 심미안을 갖는 것이다. 항상 자신의 주변에 유형적, 무형적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진다. 예술은 지식이 아니라 느낌이므로 직접 참여해야 한다. 예술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가장 높은 보상일 수 있다. 예술의 현실 세계의 경험은 디지털 복제와 인공지능 시대에 자신만의 창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네 번째 조건은 작문(글쓰기)과 외국어 번역 능력을 갖는 것이다. 글을 쓰는 것은 우리의 생각을 완성하는 것이고,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은 나의 사고의 방에 창문을 만드는 것이다. 글쓰기는 내가 나 자신을 만나고 그것은 짧은 우리 인생에 나의 흔적을 영원히 남기는 작업이다. 지난 일 년간 이외수 작가의 ‘글쓰기의 공중부양’이란 책을 지속적으로 읽으면서 글과 단어, 단어 채집, 속성 찾기, 본성 찾기 등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 챗GPT(ChatGPT)의 시대에 자신만의 문학적 작문 능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섯 번째 조건은 건강, 일, 운동, 공부, 음식, 기록 등에 좋은 습관을 갖는 것이다. 일상의 좋은 습관은 좋은 인생을 만든다. 사회적으로 성공한 인생보다는 좋은 인생을 살고 싶다. 이런 좋은 습관은 디지털 현실이 아닌 물리적 현실의 실행이다. 아무리 디지털 기술이 발전해도 우리의 물리적의 현실은 가장 중요한 인생이다.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 조건은 삶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다. 삶의 균형 감각을 갖는다는 것은 어떠한 정신적, 물리적, 생리적 중독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이다. 인간은 육체적으로 나약한 존재이다. 지속적으로 이런 것에 대해서 의존과 중독의 유혹이 온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삶의 균형 감각이다. 그것은 자신의 정체성과 독서와 배움 그리고 사색으로 가능하다. 삶의 균형 감각이 행복을 준다. 어떤 사회적 성공이나 부, 지위나 스펙이 가져다주지 않는다. 인생은 무엇을 얻으면 반드시 다른 무엇을 지불해야 한 것이므로 이런 균형이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과 현실에 대한 삶의 균형이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최근에 디지털 엔지니어링과 디지털 트윈 등을 정리하면서, 디지털 지식에 대해서 많은 독서와 정리를 하였다. 그러나 ‘1일 1개 버리기’라는 책을 우연히 읽으면서 내가 가장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지식이나 자료 수집이 아니라 버리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봤다. 저자는 “소유하고 있는 것을 내려놓아야 소중한 것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우리가 어떤 것을 못 버리는 이유는 세 가지이다. 그것은 과거의 추억을 포함하고 있거나, 그것이 미래에 사용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 그리고 현재에 버릴 용기가 없다는 것이다. 

현대인에게 너무 많은 물건과 만남, 관계, 정보로 인하여 정말 무엇이 소중한지 모르게 되었다. 시작은 하루에 아주 작은 것을 매일 버리지만, 궁극적으로는 너무 많은 사회적 관계와 정보에서 오는 정신적 불안감, 열등감, 공허감 등 마음의 짐을 버리는 것이다. 정말 오랫동안 매일 사용하던 페이스북을 끊어버렸다. 2주간은 너무 궁금했지만 이제는 나의 스마트폰과 PC에서 앱을 완전히 지웠다. 

올해의 나의 마일스톤은 디지털 디톡스에서 시작해서 디지털 안식년을 가지는 것이고, 최종적으로는 디지털 중독에서 삶의 균형 감각을 찾는 것이다. 시작은 쉽지 않다. 중독에서 벗어나는 것은 인간의 뇌의 약점인 편행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지난 두 달 동안 매일 버리면서 정말로 무엇이 소중한지를 깨닫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과 현실 세계의 균형 감각이 무엇보다도 삶의 의미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실천하고 있다. 

 

■ 조형식
항공 유체해석(CFD) 엔지니어로 출발하여 프로젝트 관리자 및 컨설턴트를 걸쳐서 디지털 지식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지식연구소 대표와 인더스트리 4.0, MES 강의, 캐드앤그래픽스 CNG 지식교육 방송 사회자 및 컬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보잉, 삼성항공우주연구소, 한국항공(KAI), 지멘스에서 근무했다. 저서로는 ‘PLM 지식’, ‘서비스공학’,  ‘스마트 엔지니어링’, ‘MES’, ‘인더스트리 4.0’ 등이 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조형식 hyongsikcho@gmail.com


출처 : 캐드앤그래픽스 2024년 10월호

  • kakao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달수있습니다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